수향미 VS 백진주, 승자는?

한국인의 주식! 한국인의 힘! 하면 ‘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매일 먹는 것이기에 ‘맛’이 정말 중요한데요. 요즘 ‘수향미’와 ‘백진주’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둘 중 어떤 쌀이 더 맛있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려드리니 쌀 구입 결정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수향미, 백진주 쌀 포대를 나란히 배열


수향미, 백진주, 공통점이 있다던데?

둘다 모두 일반 멥쌀밥에 비해 찰지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즉, 식감이 쫄깃하고 밥을 한지 오랜시간이 지나도 덜 딱딱해지고, 찰기가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그 비밀은 2가지인데요.

  • 첫번째 비밀, 수향미와 백진주는 상대적으로 아밀로펙틴의 함유비율이 높습니다.

쌀 전분은 ‘아밀로펙틴, 아밀로오스’ 2가지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아밀로펙틴의 비율이 높아야 찰지고 쫄깃한 식감을 가진 밥이 됩니다. 참고로, 보통 우리가 밥으로 먹는 멥쌀에는 아밀로오스가 20~25%, 아밀로펙틴은 75-80% 정도 됩니다. 그런데 찹쌀은 아밀로오스는 거의 없고 97%이상이 아밀로펙틴입니다.


그럼 수향미와 백진주는 어떨까요?

눈치 채셨겠지만, 다른 멥쌀들에 비해 ‘아밀로펙틴’의 함량 비율이 더 높습니다. 그래서 반찹쌀이라고도 불리며, 찹쌀밥 처럼 찰지고 쫄깃한 식감을 낼 수 있는 것이지요.

참고로, 수향미와 백진주 중에서도 백진주의 아밀로펙틴 함유비율이 더 높습니다. 그럼 백진주가 훨씬 찰지고, 식었을때도 찰기가 더 잘 남아있겠네요?

그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는 찰진정도는 둘 다 비슷합니다. 그 이유는 밥의 찰기를 결정하는데는 1가지 요소가 더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두번째 비밀을 보실까요?

  • 두번째 비밀, 수향미와 백진주는 단백질 함량이 낮습니다.

단백질과 쫄깃한 식감, 무슨 상관이 있냐구요?

요즘은 건강과 다이어트를 위해 탄수화물은 적게먹고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식단을 중요시하는데요. 쌀에서 만큼은 단배질은 환영받지 못하는 영양소입니다. 단백질 비중이 높을수록 밥이 식으면서 딱딱해지고, 색깔도 더 누렇게 변하게 됩니다. 즉, 찰진식감도 떨어지기 때문에 쫄깃한 맛을 내는 쌀일수록 단백질 함량이 낮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단백질 함량에 따라 쌀을 ‘수,우,미’등급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단백질 6%미만 : 수

단백질 6.1~7% : 우

단백질 7.1%이상 : 미

그럼 수향미와 백진주는 어떨까요?

수향미는 ‘수’등급, 백진주는 ‘우’ 등급입니다. 단백질 등급면에서는 수향미가 ‘승’입니다.


그래서 수향미, 백진주 중에 어떤 것을 살까요?

사실 밥을 비롯한 모든 식품들은 각자의 취향, 입맛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것이 더 좋다, 나쁘다라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수향미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수향미는 일단 누룽지향이 나기 때문에 식욕을 돋궈줄뿐 아니라, 백진주보다 가격도 더 저렴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어디에서 사느냐, 할인기간이냐에 따라 가격은 달라질 수 있지만, 제가 알아본 시점에서는 백진주가 비용면에서 더 경제적이었습니다.

수향미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글을 참고해주세요.

글쓴이

수향미 VS 백진주, 승자는?”의 2개의 생각

    • 건강지킴이 글쓴이

      궁금하신 부분이 ‘백진주 단백질 함량’ 이신가요?
      제가 조사한 바로는 백진주(백미, 찹쌀) 단백질은 6.77% 였습니다.(식약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하지만 백진주는 브랜드마가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측정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더 궁금하신 내용 있으시면 답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